본문 바로가기

자바의 정석

(2)
2 변수와 상수 그리고 리터럴 변수 =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상수=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경 불가 / 반드시 final을 붙여야함 리터럴= 데이터 값 int age; = age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하는 것 int = 변수 타입 age= 변수 이름 두 변수의 값 교환하기 -> int x= 10; int y= 20; int tmp; -> x 값을 임시로 저장할 변수를 선언해야함 변수의 타입 값(data) - 기본형 -논리형(boolean) -문자형(char) -정수형(byte, short, int, long) -실수형(float, double) -참조형(클래스의 이름이 참조 변수의 타입이 됨) 8bit 16bit 32bit 64bit 정수형은 표현범위가 -2^n-1 ~ ..
1 자바 언어의 특징 1. 운영체제에 독립적 -> JVM(자바가상머신)하고만 통신하기 때문. 하지만 JVM은 운용체제에 종속적임 2. 객체지향 언어 ->상속, 캡슐화, 다형성??(이해불가) 3. 가비지컬렉터가 자동으로 메모리 관리 해줌 4. 네트워크 및 분산처리 지원 5. 멀티 쓰레드 지원 (시스템과 상관없이?) 6. 동적로딩 지원 ->여러개의 클래스로 구성돼있어도 실행시 전부실행X JVM(자바 버츄얼 머신)->자바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일반어플과 다르게 자바로 작성된 어플은 JVM을 반드시 거쳐야함 자바로 프로그램 작성하기 • 자바의 모든 코드-> 반드시 클래스 안에 존재 + 이 클래스들을 모아서 자바 어플리케이션 구성 ex) class Hello{ } = Hello가 클래스 이름 + { } 안에 내용 ..